Ⅲ. 식도열공탈장 = esophageal hiatal hernia
✔ 정의
◾ 횡격막의 개구부나 열공을 통해 위의 일부분이 식도로 탈출
◾ 남성보다는 여성에게, 나이가 많을 수록 발생률 증가
✔ 병태생리
◾ 원인: 불분명
◾ 위험요인: 복압상승, 횡격막근육의 약화
▫ 비만, 임신, 복수, 종양, 꽉 조이는 의복 등은 복압을 상승시킴
▫ 고령, 외상, 장기간의 와상상태로 신체 허약
◾ 활주탈장(직접탈장, sliding hernia, type 1)
▫ 위식도연결부와 위저부가 개구부로 탈장된 상태로 대상자의 90%가 해당
▫ 앙와위로 누워있을 때 위가 흉강으로 밀려들어가고 일어날 때 다시 복강 내로 되돌아 감.
◾ 회전 또는 식도주위탈장(간접탈장, rolling or paraesophageal hernia, type 2)
▫ 위식도연결부는 횡격막 아래에 있지만 위의 일부가 탈장된 것으로 역류는 잘일어나지 않으나 폐색, 감돈 등의 합병증 발생
✔ 증상
◾ 활주탈장(직접탈장, sliding hernia, type 1)
▫ 가슴앓이(가장 흔한 증상) -> 특히, 식후 구부리는 자세에서 극심한 작열통 호소, 앉거나 서면 완화, 과식이나 음주, 흡연, 야식으로 통증 유발
◾ 회전 또는 식도주위탈장(간접탈장, rolling or paraesophageal hernia, type 2)
▫ 초기: 거의 무증상
▫ 주로 상복부의 불쾌감, 동통, 하품, 구토, 호흡곤란, 두근거림, 기침 등의 증상
▫ 장기화: 궤양 증상이 겹쳐 폐렴유발
✔ 진단검사
◾ X ray
◾ 바륨연하검사(barium swallow)
◾ 내시경 검사
✔ 치료
◾ 비수술적 치료
▫ 생활 습관 개선:
▪ 식사 후 바로 눕지 않기: 식사 후 2~3시간 동안은 눕지 않도록 권장
▪ 적은 양의 자주 먹기: 한 번에 많은 양을 먹는 것을 피하고, 작은 양을 자주 섭취
▪ 체중 감량: 비만이 있을 경우 체중 감량
▪ 흡연 및 음주 제한: 흡연과 음주는 증상을 악화
▪ 상체를 높여서 자는 것: 베개나 상체를 높여 자면 위산이 역류 방지
▫ 약물 치료
▪ 프로톤 펌프 억제제(PPI): 위산 분비를 줄여 위산 역류로 인한 증상을 완화
▪ 히스타민-2 수용체 차단제: 위산 분비를 억제
▪ 제산제: 위산을 중화시켜 역류로 인한 불편함 감소
◾ 수술적 치료
▫ 탈장절개술(herniotomy) :
▪ 복벽의 약해진 부위나 틈새로 장기 또는 조직이 빠져나와 생긴 탈장을 수술을 통해 복원하는 것
▪ 수술 전: 6-8 시간 금식, 항응고제 복용 중단, 흡연 및 음주 중단
▪ 수술 후: 통증 관리(진통제 복용), 상처관리(수술 부위 깨끗하게 유지- 감염 징후 확인), 활동 제한
'Nursing > 성인간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화) 상부 위장관계 질환(식도 장애 - 식도이완불능증=Esophageal Achalasia) (0) | 2024.10.01 |
---|---|
소화) 상부 소화기계 질환(식도 장애 - 위 식도 역류질환=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GERD) (0) | 2024.09.27 |
소화) 상부 위장관계 질환(구강장애 - 칸디다증, 아프타성 구내염, 단순포진 바이러스) (0) | 2024.09.26 |
소화) 소화기계 사정(신체사정, 진단검사) (0) | 2024.09.25 |
소화) 소화기계 사정(위장관계 구조와 기능) (0) | 2024.09.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