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간호학/성인간호학

소화) 소화기계 사정(위장관계 구조와 기능)

반응형

 

 

Ⅰ. 구강 

 미각 수용체, 침샘(설하선, 악하선, 이하선) -> 아밀라아제(소화효소) 분비, 타액분비(정상 성인기준 1000-1500mL/일)


Ⅱ. 식도
✔ 구강~위 연결하는 음식물과 물의 이동 통로
✔ 연하작용: 저작된 음식물이 인두 -> 식도 -> 위로 이동하는 과정
✔ 연동운동을 통해 이동하며 위로 들어가면 괄약근이 닫힘


Ⅲ. 위
✔ 기능

 ◾ 음식물 저장, 위액과 혼합, 유미즙 상태로 만들어 십이지장으로 배출

 ◾ 주세포: 점액분비, 펩시노겐 분비(HCI에 의해 펩신으로 활성화)

 ◾ 벽세포 : HCI 분비, Vit B12 흡수에 필수적인 내인자 분비(장에서 흡수)

 ◾ 유문샘 : 가스트린과 점액 분비

 ◾ 단백질 분해 시작

 ◾ 아밀라아제가 산에 의해 불활성화 될 때까지 탄수화물 소화됨

 ◾ 물, 알코올, 포도당, 일부 약물 흡수
✔ 신경지배

 ◾ 교감신경: 위액 분비 및 위 운동 저하시킴

 ◾ 부교감신경: 미주신경, 위산, 가스트린, 펩신 등의 위액 분비 및 위 운동 증가(소화촉진)

✔ 분비

 ◾ 위액 분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위 팽만, 단백질 성분, 미주신경 활동, 아세틸콜린, 히스타민, 가스트린에 의한 자극

 ◾ 위액 분비 억제요인: 미주신경 자극 억제(교감신경 자극), 음식물의 삼투질 농도 증가, 지방물질, Enterogastrone 호르몬, 혈액순환 변화, 위염과 염증


Ⅳ. 소장
✔ 십이지장, 공장, 회장으로 이루어짐

 ◾ 십이지장: 유문에서 공장까지 25cm의 관상기관, C자 모양

 ◾ 공장: 소장의 중간 부위 약 2.5m, 주로 포도당, 수용성 비타민 흡수

 ◾ 회장: 소장의 마지막 부분 약 3.6m, 담즙산염 흡수, vit B12 흡수(내인자와 결합)

 ◾ 오디괄약근(oddi's sphincter) : 간과 췌장에서 분비된 담즙과 췌액을 전달하는 관의 개구부를 조여 주는 근육, Morphine오디괄약근 경련을 일으키므로 주의(demerol 사용)
✔ 기능

 ◾ 하루에 약 2L 장액(pH 8) 분비

 ◾ 위에서 온 미즙과 담즙, 췌장액이 혼합되는 장소

 ◾ 음식물의 소화 완성, 주로 공장에서 흡수됨

 ◾ 소장액 분비(pH7.0~8.0의 약알칼리성) : Secretin, CCK, Enterokinase, Maltase 등

 ◾ 흡수: 수용성 물질(모세혈관), 지용성 물질(암죽관)

 

Ⅴ. 대장
✔ 맹장, 결장, 직장으로 이루어짐
✔ 점액 -> 대장벽 보호, 확산에 의한 수분 흡수, 대변을 형성함, vit.B, vit.K를 합성함.

 

Ⅵ. 간

✔ 구조: 우상복부(RUQ), 횡격막 바로 아래 위치

✔ 기능

 ◾ 순환기능: 다량의 혈액저장, 심박출량의 1/4이 간으로 유입

 ◾ 답즙생산(700~1,200ml/day)

  ▫ 답즙 분비경로: 간세포의 분비액 -> 담세관 -> 총담관 -> 오디 괄약근 -> 십이지장

  ▫ Bilirubin은 간을 통해 배설(간에서 생성x)

  ▫ Bilirubin -> Urobilinogen(장내 세균에 의해)되어 대변으로 배설

  ▫ 담즙이 어떠한 원인에 의해 장으로 배설되지 못하고 혈관 속으로 흡수되면 피부, 공막에 황달이 생기고 담즙산염이 피부에 축척되어 소양증이 나타남

  ▫ 담즙 결핍으로 지방흡수 감소 시 vit A, D, E, K(지용성비타민) 흡수 장애로 혈액응고 지연

 ◾ 탄수화물 대사: 당원 형성, 당원 분해, 당질 신생

 ◾ 지방 대사: 지방산의 산화기능, 지단백 형성, 콜레스테롤 합성, 지방 합성

 ◾ 단백질 대사

  ▫ 알부민 합성(혈장의 교질삼투압 조절), 응고인자 합성

  ▫ 여러 약물, 호르몬들 전환하는 기능 

 ◾ 비타민과 철 저장, 해독작용(암모니아 NH3 -> 무독성 요소)

 

Ⅶ. 담낭

담즙의 저장, 농축하여 십이지장으로 배출

 

Ⅷ. 췌장

 구조

 ◾ 후복막 위치

  ▫ 외분비선: 소화효소 분비(아밀라아제, 트립신, 리파아제)

  ▫ 내분비선: β세포 - 인슐린, α세포-글루카곤 분비

 기능

 ◾ 위내용물 중화(췌장액 pH 8), 췌장액 분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