Ⅱ. 식도이완불능증(Achalasia)
✔ 정의
◾ 연하 시 하부식도 괄약근이 정상적으로 이완하지 못하여 음식물이 내려가지 못하는 상태
◾ 식도 하부 2/3 지점의 신경근육(Aurbach's plexus)의 손상
◾ 30~40대 호발
✔ 원인
◾ 하부식도괄약근의 압력 증가 -> 연하 시에도 이완되지 않음
◾ 위암의 식도침윤, 방사선 치료, 약물, 식도손상, 미주신경장애 등
✔ 진단 검사
◾ 바륨연하검사(barium swallow): 식도이완불능증을 진단하는 첫 번째 검사. 식도체부의 확장과 하부식도 부위가 원위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새부리 모양의 음영
▫ 검사 후 수분 섭취 교육, 환자에게 흰색 대변이 나타날 수 있다고 설명
◾ 위내시경: 식도체부는 운동이 없으면서 넓게 확장되어 있고 음식물이 남아 있음.
◾ 식도 내압측정검사 : 하부식도 괄약근 압력 상승(>40mmHg)
▫ 검사 전 8시간 금식, 관을 삽입후 물을 마시면서 검사
✔
증상
◾ 식사 20분~ 2시간 후 증상 발생
◾ 식도 하부에 음식 축적 -> 가슴앓이(Heartburn)/ 역류(Regurgitation)/ 연하곤란(Dysphagia)-> 기도흡입, 기관지 합병증 유발
✔ 치료
◾ 항콜린제, nitrates 설하 투여, 칼슘 차단제 투여 -> 근육이완 효과, 하부식도괄약근압을 낮추어 증상 완화
▫ 부작용: 장기간 투여시 두통, 저혈압, 효과가 떨어질 수 있음
◾ 보툴리눔독소 주사(Botox)
▫ 직접 주입하여 하부식도괄약근을 지배하는 신경을 마비시켜 폐색을 완화시켜주는 방법
▫ 6~24개월 동안 증상 완화 효과
▫ 부작용: 흉통이나 가슴앓이
◾ 진통제, 풍선확장제, 식도근 절개술
◾ 식사는 소량씩 자주 섭취, 따뜻한 음식/ 유동식 공금, 수면 시 머리를 높여 기도 흡입 방지, 금연, 금주
'Nursing > 성인간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화) 상부 위장관계 질환(식도 장애 - 식도열공탈장 = esophageal hiatal hernia) (0) | 2024.10.19 |
---|---|
소화) 상부 소화기계 질환(식도 장애 - 위 식도 역류질환=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GERD) (0) | 2024.09.27 |
소화) 상부 위장관계 질환(구강장애 - 칸디다증, 아프타성 구내염, 단순포진 바이러스) (0) | 2024.09.26 |
소화) 소화기계 사정(신체사정, 진단검사) (0) | 2024.09.25 |
소화) 소화기계 사정(위장관계 구조와 기능) (0) | 2024.09.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