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위 식도 역류질환(Gastroesophageal reflex/reflux disease, GERD)
✔ 정의
◾ 위 내용물이 식도로 역류하여 이차적으로 식도조직에 병리적 변화를 초래하는 증후군
✔ 병태생리
◾ 하부식도괄약근의 기능부전, 식도열공탈장, 식도 운동성 장애등으로 식도괄약근의 기능이 저하되고 위 배출 속도가 감소하여 산성의 위 내용물이 식도로 역류하여 식도점막이 속상되고 식도염이 발생
◾ 바렛 식도(Barrett's esophagus): 정상적인 회색빛 분홍색의 식도조직이 위점막처럼 보임, 정상 편평상피세포가 원주상피세포로 대치되는 세포변형
✔ 원인
◾ 복압 증가: 비만, 임신, 복수, 기침 등
◾ 하부식도 괄약근(LES)의 부적절한 이완: 음주, 흡연, 기름진 음식
◾ 유문 협착, 위 내용물 정체
✔ 증상
◾ 가슴앓이(heartburn): 양쪽 견갑골 사이, 목, 턱으로 방사 -> 대개 식후에 나타나고 제산제나 우유, 수분섭취로 완화
-> 심장문제(협심증 등)와 혼동하지 않도록 주의
◾ 역류: 인두에서 쓴맛, 신맛 -> 복압강내 압력을 증가시키는 활동으로 유발
◾ 연하곤란, 연하통, 소화불량
✔ 진단검사
◾ 바륨 연하검사(barium swallow): 구조적 이상으로 인한 기능장애을 확인할 때 시행
◾ 식도내압 측정(esophageal manometry): 하부식도괄약근 이완불능, 식도경련과 같은 운동장애 확인
◾ 식도내시경: 하부식도 괄약근의 기능, 염증, 협착 등을 확인하는 데 유용
◾ 24시간 식도 산도 검사: 역류시 pH4 이하(정상:6.5~7.0)로 감소
✔ 치료
◾ 약물요법
▫ 제산제(위산중화-> 통증감소, 식사 1시간 전 또는 식후 2~3시간 후 복용)
▫ 프로톤(양성자)펌프억제제(PPI): 위산의 강력한 억제, 하루 한번 아침 식전 복용
▫ 금기약: 항콜린제, 칼슘차단제 -> 식도괄약근 압력 감소, 위 배출속도 지연
◾ 내시경적 치료: 식도 괄약근을 조여줌
◾ 수술요법: 위저부 추벽 성형술
◾ 생활습관
▫ 소량씩 자주 식사(하루 4번), 식사 중 적당한 수분 섭취, 저지방식 섭취(지방은 위 잔류시간↑)
▫ 담배, 자극적인 양념, 술, 커피, 오렌지 주스(신맛 음료), 너무 뜨겁거나 찬 음식은 피함
▫ 잠들기 3시간 전에 음식물 섭취 금지
▫ 수면 시 머리를 올려줌 -> 역류 예방
▫ 적절한 체중 유지, 꽉끼는 옷 피하기 -> 복압 증가 예방
▫ 탄산음료, 가스발생 음식 제한, 빨대사용 제한
▫ 아스피린 사용 제한(식도염 악화시킴)
'Nursing > 성인간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화) 상부 위장관계 질환(식도 장애 - 식도열공탈장 = esophageal hiatal hernia) (0) | 2024.10.19 |
---|---|
소화) 상부 위장관계 질환(식도 장애 - 식도이완불능증=Esophageal Achalasia) (0) | 2024.10.01 |
소화) 상부 위장관계 질환(구강장애 - 칸디다증, 아프타성 구내염, 단순포진 바이러스) (0) | 2024.09.26 |
소화) 소화기계 사정(신체사정, 진단검사) (0) | 2024.09.25 |
소화) 소화기계 사정(위장관계 구조와 기능) (0) | 2024.09.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