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ursing 17

면역) 전신성 경화증(Systemic Sclerosis)

전신성 경화증(Systemic Sclerosis, SSc)은 자가면역 질환의 일종으로, 피부와 내부 장기에 걸쳐 결합 조직의 과도한 섬유화가 일어나는 질환입니다. 이 질환은 피부의 경화와 두꺼워짐이 특징이며, 심한 경우 내부 장기에도 영향을 미쳐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전신성 경화증은 주로 30~50대 여성에게 많이 발생하며, 남성보다 여성이 약 4배 더 많이 발병하는 경향이 있습니다.원인전신성 경화증의 정확한 원인은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자가면역 반응이 주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자가면역 반응이란 면역 체계가 외부에서 들어온 병원균이 아닌 자신의 조직을 공격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로 인해 결합 조직의 과도한 섬유화가 발생하고, 혈관 내피 세포의 손상과 염..

면역)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SLE)

1. 개념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는 전신성 홍반성 낭창이라고도 부르며 주로 가임기 여성을 포함한 젊은 나이에 발병하는 만성 자가면역질환이다. 해로운 박테리아가 몸 안에 침입했을 때 이를 막아 주는 방어물질인 항체가 이상을 일으켜 자기 인체를 유해 물질로 생각하고 공격하는데 이런 항체를 자가항체라고 한다.   루푸스는 신체 발병 부위에 따라 두 가지로 분류된다. 주로 피부에만 나타나 흉터를 남기는 피부성 루푸스와 인체의 여러 기관에 질병을 일으키는 전신성 루푸스가 있다. 전신성 루푸스는 만성적으로 인체의 각 기관에 걸쳐 전신적으로 나타나게 된다. 루푸스의 대표적인 증상인 피부발진이 마치 늑대에 물린 자국과 비슷하다고 하여 루푸스라고 불리게 되었다.  2. 원인  루푸스의 정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정신) 성격장애(Personality disorder) 2

3. 성격장애의 종류A군 성격장애(Cluster A Personality Disorder: "odd')B군 성격장애(Cluster B Personality Disorder : "erratic")C군 성격장애(Cluster C Personality Disorder: "anxious")조현성 성격장애 Schizoid Personality Disorder히스테리성(연극성) 성격장애 Histrionic Personality Disorder강박성 성격장애 Obsessive-compulsive Personality Disorder조현형 성격장애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자기애적 성격장애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회피성 성격장애 Avoidant Per..

정신) 성격 장애(Personality disorder) 1

1. 성격장애의 정의- 개인의 독특한 품성, 행동, 기질, 정서 및 정신적 성향의 조합, 일상적 상황에서 개인을 특정 짓는 안정적이고 예측할 수 있는 감정 및 행동 경향- 성격 자체가 특이한 것으로 어린 시절부터 서서히 발전하여 성인기에 개인의 성격으로 굳어진 심리적 특성이 부적응적 양상을 보이는 것- 기능 및 관계를 훼손할 수 있는 다양한 경직된 부적응 행동 패턴 또는 특성의 일관된 표현을 포함 2. 성격장애의 원인- 생물학적 요인 : 부적절한 신경전달물질의 분비, 뇌 기능 이상, 변연계 이상- 유전적 요인 : 정신장애와의 유전적 연관성- 심리적 요인 : 초자아의 미성숙한 발달, 불안 수준 상승- 사회환경적 요인 : 가족의 불안정, 초기 외상, 어린 시절의 학대 3. 성격장애의 종류A군 성격장애(Clu..

정신) 조현병(1)

1. 조현병 스펙트럼 및 기타 정신병적 장애의 종류(DSM-5)- 조현병(Schizophrenia) ✔ 스펙트럼 및 기타 정신병적 장애 중 가장 심각한 상태의 장애- 망상장애  ✔ 한 가지 혹은 그 이상의 망상이 1개월 이상 지속됨 ✔ 피해형, 질투형, 색정형, 과대형, 신체형- 단기 정신병적 장애 ✔ 조현병과 기분장애의 정신병적 증상이 최소 하루 이상 1개월 이내로 나타남- 조현양상장애 ✔ 조현병과 유사하나 6개월 이내 회복되어 병 전 상태로 돌아감(6개월 이상 지속되면 조현병으로 진단)- 조현정동장애 ✔ 조현병과 기분장애(조증, 우울증)를 모두 갖고 있는 상태- 물질/약물로 유발된 정신병적 장애- 의학적 상태로 인한 정신병적 장애- 정신장애와 관련된 긴장증- 의학적 상태로 인한 긴장증적 장애 2. 조..

정신)치료적 의사소통

1. 치료적 의사소통의 원리와 기술 - 치료적 의사소통   간호사가 자신을 치료적으로 이용하여 개인이나 집단의 가치와 태도 변화를 유도하는 것 목적: 대상자가 우선순위를 재평가할 수 있게 함, 현실에서 의미 있는 인간관계 경험 치료적 의사소통의 특징 : 목표 지향적, 서술적, 비판 단적, 규칙과 범위 존재, 대상자 중심, 개별화된 전략- 참여 기술 신체적 참여 기술: 정면으로 바라보기, 개방적 자세, 몸을 기울이기, 눈 맞춤 심리 사회적 참여 기술: 경청, 비언어적 행동, 이완된 분위기 조정, 프라이버시 보장 - 치료적 의사소통 과정의 원칙1) 커뮤니케이션에는 언어 및 비언어적 표현이 포함됨2) 성공적인 커뮤니케이션에는 적절성(appropritenss), 효율성(efficiency), 유연성(flexib..

정신) 정신건강

1. 정신건강과 정신질환의 개념 1. 정신건강의 정의 - 인간이 사회생활을 자발적이고 독립적으로 영위해 나가기 위해 생각하고 판단하는 능력에 병적 증세나 정신병리가 없음 - 환경에 대한 적응력이 있고, 성숙한 인격을 갖춘 상태 - 주관적인 안녕감, 자기효능감, 자발성, 유능감, 세대 상호 간의 의존과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개인의 인지적, 정서적 잠재 능력에 대한 자기실현 등을 포함함 2. 정신질환의 정의 - 사고, 감정, 행동의 변화로 환경에 잘 적응하지 못하고 자신 및 타인에게 해로운 영향을 주는 임상적으로 유의한 행동적, 심리적 증후군 3. 정신건강과 정신질환의 연속성 - 정신건강과 정신질환을 정확히 구별할 수 없음 - 신체와 정신은 상호연관성을 지니고 있음  1) 신체적 고통은 불안, 우울 유발  ..